한줄일기(448)
-
책에 대한 책에 대한 책 - 금정연 / 김보령 / 김지원 / 노지양 / 서성진 / 서해인 / 심우진 / 양선화
읽어야지 하고 사서 책상 위에 쌓아둔 책도 여러 권인데, 또 습관처럼 발걸음은 도서관을 향한다. 신작 코너에서 최근 들어온 책 중에 재미있어 보이는 책들의 목차를 살펴본다. 그러는 사이 다른 사람이 옆에 오면, 혹시 그 사람에게 선수를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얼른 책을 집어 들고 도서관 카드를 꺼내서 대출을 마무리한다. 이 『책에 대한 책에 대한 책』도 그렇게 골라온 책 중에 한 권이다. 읽어야 할 책들을 미루고 읽은 책이 책에 대한 책이라니. 이 책은 책과 관련된 저자들이 책에 대한 책을 소개하는 글을 묶었다. 서평가, 대형 서점 마케터, 신문 기자, 번역가, 출판사 편집자, 뉴스레터 발행인, 책 디자이너 등 책과 관련된 사람들이 각자 한 권씩 책에 대한 책을 소개하면서 책에 대한 자신의 이야기를 ..
2023.05.30 -
여름 미리 맛보기
오후 2시. 햇살이 가장 뜨거운 시간. 오늘 꼭 다녀와야 할 곳이 있어서 거리를 나섰다. 그늘 속을 걸을 땐 몰랐는데, 햇살을 바로 맞아야 하는 상황에선 긴소매 옷을 입었는데도 햇살이 옷 사이를 비집고 들어오는 것처럼 따가움이 느껴졌다. 아직 5월인데. 나무들도 아직은 봄빛에 가까운 색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뜨겁다니. 마스크를 부담스럽게 하는 뜨거운 기온도, 옷을 뚫고 들어오는 따가운 햇볕도, 얼굴을 따라 흐르는 땀방울도 심리적 여름이다. 5월의 끝에 이른 맛보기 여름은 그래도 나무 그늘 아래선 제힘을 못 쓰는 듯하다. 여름이다. 벌써 여름이다.
2023.05.29 -
스마트 브레비티 Smart Brevity :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바이블 - 짐 밴더하이 / 마이크 앨런 / 로이 슈워츠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에서 교육제도 안에서 글 쓰는 방법을 배워본 적이 없다. 초중고등학교 때에 '글짓기'라는 이름으로 원고지를 채우는 방법을 배우긴 했다. 생각해보면 그게 내 안에 있는 글을 썼다기보다는 주제에 맞게 없는 글을 머리로 지어 냈던 경험에 가까웠다. 그러다 어학연수 중 'Academic Writing' 수업 시간에 내 생각을 어떻게 하나의 글로 풀어내는지 그 과정을 교육받았다. 내 생각을 기초부터 세워가며, 그 기초를 탄탄히 하는 주장의 근거를 찾아 뼈대에 살을 붙여가며 하나의 완전한 글을 쓰는 방법을 다른 나라에서 '처음' 배웠다. 그리고 그때 배웠던 글쓰기의 기본으로 지금까지 다양한 글을 쓰면서 살아가고 있다. 이메일, 기획문서, 제안서, 서비스 소개서 등 회사에서 쓰는 모든 글쓰기의 기초..
2023.05.28 -
온라인 세상을 변화시킨 뛰어난 플랫폼 워드프레스의 20주년 축하합니다!
2003년 5월 27일, WordPress가 세상에 첫선을 보였다. 블로그 플랫폼으로 시작한 WordPress는 20년 동안 조금씩 변화하면서 웹사이트, 쇼핑몰, 커뮤니티, 언론 사이트, 온라인 잡지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전 세계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의 63.2%, 전체 웹사이트의 43.1%가 WordPress로 개발되었다. (W3techs.com. 2023. 05. 27. 기준) WordPress는 강력한 기능과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그리고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WordPress를 중심으로 하는 개발자 생태계가 탄탄하게 지원하고 있고 수 많은 개발자가 이 오픈소스 생태계에 기여를 하고 있어 경쟁 서비스보다 더 크게 성장할 수 있었다. ..
2023.05.27 -
IT 트렌드 읽는 습관 : 기술의 흐름을 읽고 이용하는 법 - 김지현
매일 아침 한줄일기 블로그에 글을 쓰기 위해 노트북을 연다. 노트북을 열면 우선 지난 24시간 동안 쌓여있는 뉴스레터들을 읽는 것부터 시작한다. 뉴스레터는 G메일에서 미리 지정해 둔 주제별로 분류가 되어 정리되어 있다. 재미난 기사나 새로운 서비스를 접할 수 있어서 뉴스레터를 좋아한다. 다음으로는 Daum과 Naver 메인에 노출되는 주요 IT 뉴스를 살펴본다. 회사에서 보도자료로 뿌린 내용도 있지만 IT 기술에 대한 심층 취재나 IT업계 주요 인물 인터뷰 등을 뉴스 미디어를 통해서 주로 확인하고 있다. 그리고는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주요 이슈들을 확인하는 것으로 나름의 IT 트렌드를 살피는 리추얼로 삼고 있다. 이 책도 이런 리추얼 중에 저자가 직접 소개한 페이스북의 출간 소식을 보고 읽게..
2023.05.26 -
오늘의 일기 - 오랜만에 시력 검사
중학교 때부터 안경을 계속 쓰고 있지만, 시력은 크게 나빠지지 않은 채로 살아왔다. 안경도 잔기스가 없으면 4-5년을 써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TV를 보는데 자막이 잘 안 보이는 경우가 종종 생겼다. 오래전에 쓰고 잔기스가 너무 많이 생겨서 내버려 둔 안경테 두개에 렌즈 교체도 필요하고 해서 안경원을 찾아가 시력 검사를 했다. 안경원이 병원은 아니지만 들어서자마자 병원 갈 때 느끼는 죄책감 비슷한 게 느껴졌다. 마지막으로 시력 검사를 한 게 4년 전이니까 그동안 내 눈에 너무 무심했던 것 같아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예상대로 그사이 시력이 많이 나빠졌다. 시력 검사를 담당한 안경사분이 너무 높은 도수를 갑자기 올리면 어지러울 수 있으니, 적당히 잘 보이는 선에서 도수를 결정하자 하셔서..
2023.05.25 -
마음을 움직이는 일 : 브랜딩 에세이 - 전우성
콘텐츠 마케터로 가장 어려웠던 경우는 업무 관련된 것보다 그 외적인 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이 업계를 잘 모르는 어르신이나 아이들에게 내가 하는 일을 설명하는 경우. 내 일을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지만 대부분 고개를 끄덕끄덕하면서 얼굴엔 물음표가 여러 개다. 브랜딩 디렉터로 일하는 저자는 자신의 업을 한마디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일(책 제목)'이라고 했다. 내 설명을 듣고 내가 하는 일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그분들은 이 설명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ㅎㅎ 이 책에는 '브랜드'에 관한 저자의 고민이 진솔하게 담겨있다. 100개가 넘는 챕터를 300여 페이지에 담다 보니, 짧은 건 한 장에 다 들어갈 정도다. 각 챕터의 글 길이를 보면 현업을 진행하면서 노트에 남긴 메모들이 이 책의 근간이 되지..
2023.05.24 -
오늘의 일기 - 디지털 폐지줍기
이전 글에서 이야기했듯이 3km 걷기를 하루도 거르지 않고 이어가고 있다. 산책 코스를 처음엔 공기 좋은 강변 쪽으로 잡았다가 조금씩 루트를 변경했다. 최근엔 방문해서 20원씩 받을 수 있는 토스 만보기 방문 미션 장소 다섯 곳을 순서를 변경해가면서 산책 경로를 잡고 있다. 산책하면서 일명 '디지털 폐지줍기'를 하고 있다. '디지털 폐지줍기'가 가능한 다양한 앱이 있지만, 그중에 토스를 선호하는 이유는 1포인트가 1원으로 실제 현금과 동일한 가치 비중을 가지고 있고, 언제든 토스 뱅크로 인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디지털 폐지줍기 ] 모바일 앱에서 걷기, 퀴즈, 이벤트 참여를 통해 포인트, 적립금, 쿠폰 등의 혜택을 얻는 행위. 다른 용어로 짠테크(짠돌이+재테크), 앱테크(앱+재테크)라고도 부름. 오늘..
2023.05.23 -
어쩌다 디자인 - 장영진
제안서를 쓰다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막히는 부분이 나올 때가 있다. 이럴 땐 책장에 꽂혀있는 이전 책들을 다시 꺼내 읽는다. 책엔 북마크 해 둔 표시나, 포스트잇으로 붙여둔 메모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막혔던 제안서나 프로젝트를 마무리할 수 있는 동력을 얻는다. '어쩌다 디자인'은 디자이너로 프로젝트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저자가 그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살짝 공유한다. 디자이너는 아니지만 비슷한 상황을 경험했던 터라 저자의 대처 방법에 공감을 보내면서 읽었다. 얼마 전부터 사람들이 콘텐츠를 보다 쉽고 간단하게 제작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서비스를 고민하고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을 테스트해 보고, 실제 운영을 했다. 지금까지의 경험을 새로운..
2023.05.22 -
인터넷서점 알라딘 전자책 해킹 도난 사건
최근 인터넷서점 알라딘에서 전자책(이북:e-Book) 백만 권이 도난당한 사건이 있었다. 알라딘에서는 처음 그런 일 없다고 밝혔다가 사실 확인 후 5월 20일 공지사항을 통해 전자책 유출 보도가 사실이라고 밝혔다. 아직 정확한 경위와 피해 규모도 밝히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관련 기사를 보면 전자책을 유출(정확한 표현은 도난이 아닐까?)했다고 주장하는 해커는 해킹으로 훔쳐낸 전자책의 샘플을 텔레그램을 통해서 공개하면서 알라딘에 비트코인을 요구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전자책을 선호하지 않아 아직도 종이책을 주로 읽고 있지만, 이번에 알라딘이라는 대형 인터넷서점이 해커의 공격으로 어려움을 겪는 건 출판계에도 큰 영향을 끼칠 안타까운 사건이라고 생각한다. 텍스트로 된 정보를 읽는 정도의 수고로움을 감수할 수..
2023.05.21